2023. 3. 14. 13:48ㆍ국제 교류 및 혁신·성장/NPO 보고서 및 연구자료
서울시 재난 안전과 관련된 소셜미디어 빅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기초자치단체와 시민 간 소통 패턴 및 구조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재난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방안
시민 소통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서울시 재안 안전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pdf 5.75MB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서 발간한 책 <민주적 의사 결정과 의사소통>은 성미산 마을, 아파트 입주자 대표회의, 학교, 지역사회, 시민단체 등 각 현장의 민주적 의사결정의 과정과 방법, 갈등해결과 사회적 합의에 이르는 구체적 사례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시민교육 활동가를 위한 교육 자료집인 동시에, 이 책을 접하는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실천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민주화 운동 및 민주 시민등의 단어는 자칫 정치적인 단어로 보일 수 있을 것 같다.
다수의 몇몇 극단적 정치인, 그의 지지자들로 인하여 여러 사회적인 단어들이 정치적으로 변질된 것이 없지않아 있는 것 같다.
해당 자료집은 아래 링크를 출처로 하고 있으며
링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시민교육 현장 지침서 2> 민주적 의사 결정과 의사소통
우리 사회는 짧은 시간에 절차적 민주주의를 확립했지만, 보다 성숙한 민주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회 각 영역에서의 ···
www.kdemo.or.kr
사업회는 2018년 말 경찰청으로부터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운영권을 이관받아, 과거 인권유린과 국가폭력의 현장이었던 대공분실을 민주주의와 인권의 장인 ‘민주인권기념관’ 으로 조성하고 있다고 한다.
‘소통’과 ‘사회적 합의’를 주제로 한 이 보고서의 첨부파일은 아래와 같고, 하단에 목차도 함께 남겨 놓기로 했다.
민주적 의사 결정과 의사소통.pdf 2.28MB
첫째 마당 소통의 시대, 불통의 문화_김희은 13 소통의 시대, 불통의 문화 15 불통의 문화 징후들 15 눈치보기 17 가만히 있으면 중간은 간다 18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 20 거칠어지는 아이들의 말 22 사회적 갈등 24 소통문화 만들기를 위한 대안적 모색 25 부평 문화의 거리 사업 26 마을 공동체에서 26 아파트에서 27 학교사회에서 28 지역사회에서 28 시민단체에서 29 조급하지 않고 충분하게 둘째 마당 사례 1: 성미산마을의 의사소통과 의사 결정_위성남 33 일상생활 민주주의 35 성미산마을의 현황과 역사 37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39 [사례1] 과정과 절차: 성미산학교 초기 설립 과정 43 [사례 2] 공감: 2005년 참나무어린이집 풍경 46 [사례 3] 정보 소통의 중요성: 마포두레생협 사례 49 [사례 4] 남성과 여성: 2006녀녀 성미산어린이집 풍경 53 [사례 5] 권위의 형성: 성미산학교 초기 3년 갈등 56 [사례 6] 집단적 의사소통: 3가지 회의 방식 58 [사례 7] 당사자 협력: 각종문제 하소연대회 59 나가면서: 관계성 사례 2: 아파트 입주자대표회의의 민주적 운영_이일권 61 우리 아파트, 다른 아파트 64 민주적 아파트, 민주적 회장 67 대표자회의의 실제 76 관리소장의 중요성 77 공정한 입찰, 투명한 개찰 80 관리비와 회계 관리 83 소통과 민원 처리 87 자생단체와 마을 축제 90 입주민들을 위하여 93 생활 속 민주주의 사례 3: 학교사회의 민주적 의사 결정 과정과 방법_이광호 96 학교의 민주적 의사 결정을 위한 제 규정과 일반적인 회의 진행 과정 104 학교운영위원회 110 교무회의 118 학생회 127 나가면서 사례 4: 지역사회의 의사 결정과 갈등 해결_이은숙 134 경남 마산 진로기업과 평암리 지역 주민 상생협약 체결 과정의 의사소통 135 쟁점 해소와 갈등 해결 방식 138 조직과 구성원들의 변화 138 주민과 조직 구성원의 참여와 자치 방식 143 전북 완주 지역사회영리법인 건강힐링마을의 의사 결정 143 쟁점 해소와 갈등 해결 방식 145 원만한 의사 결정과 합의 형성을 위한 시사점 147 조직과 구성원들의 변화 148 주민과 조직 구성원의 참여와 자치 방식 150 인천광역시 가좌2동 주민자치센터 의제 만들기 150 의제가 만들어진 과정 151 의제를 만들 수 있었던 조건 153 마을의제추진위원회 구성 과정의 갈등 155 마을의제추진위원단 구성 156 원만한 의사 결정과 합의 형성을 위한 시사점 사례 5: 시민단체의 조직문화 성찰_권미혁 159 민주적 조직문화와 시민단체 164 사례들: 6가지 172 민주적 소통을 위한 몇 가지 코드 176 결론 셋째 마당 현장 사례에서 배우는 민주적 의사 결정 방법과 교훈_강영진 182 각 사례의 특징과 의의 185 교훈과 시사점: 효과적 소통과 의사 결정 방법 185 건강한 조직의 두 기둥, 참여와 소통 189 표결은 피하고 최대한 합의 모색 192 논란・갈등을 해결하는 방법 196 기본은 조직문화와 구성원의 자세 합의 형성, 갈등 해결을 위한 회의 진행법_강영진 201 진정 민주적 의사 결정은 다수결 아닌 합의 형성 203 합의 형성을 위한 회의 진행 절차와 기법 208 쟁점 해소, 합의 형성을 위한 회의 진행자의 역할 218 보론: 지역사회 갈등 분쟁의 해결 절차와 기법
오래전에 작성된 이 보고서는 NPO(비영리단체)의 지속 가능성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다.
소통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1999~2008).pdf 8.28MB
이러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서울시NPO지원센터에서는 'NPO 지속가능보고서 가이드 라인'을 발간했다고 한다.
관련 링크
함께하는 시민행동 지속가능보고서(1999~2008) : 함께하는 시민행동
하얀 커버에 와인빛 글씨 한 줄. 함께하는 시민행동의 첫 번째 지속가능보고서가 드디어 나왔습니다! 2007년 말 처음 이 보고서를 기획할 때만 해도 과연 이게 가능한 일인지, 10주년 안에 쓸 수나
www.action.or.kr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묻던 지속가능성보고서를 NPO에게 맞게 재구성 하였고 NPO의 조직적 특성을 반영하여 조직의 개요, 의사결정구조를 시작해 재정 운영의 건정성, 조직 운영 관점에서 인권노동, 주요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등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지표을 개발했다고 한다.
NPO 지속가능성보고 가이드라인.pdf 0.72MB
서울특별시 NPO 지원센터
www.snp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