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15. 13:26ㆍESG 사업 점검 자료/환경(Environment) 점검 관련
사람이 건강하게 살아가는 데 맑은 공기는 매우 중요하다.
주로 사용되는 실내에서는 공기오염이 더욱 심각할 수 있다.
실외는 비나 바람에 의해 자연스럽게 정화되는 경우가 많고 관리체계도 정비되어 있는 반면, 실내공기는 한정된 공간에 유해물질이 축적되어 실외보다 2-5배, 많게는 100배 이상 오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물질들은 다양한 가구나 마감재, 생활용품, 전자기기 등에서 나와 아토피·천식·비염 등 알레르기성 질환이나 기관지염과 폐렴, 심각한 경우 암을 유발할 수 있다.현대인들은 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건강이 취약한 영유아나 노인들의 경우 더욱 긴 시간 실내에 머물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안전하고 건강하게 관리하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고 한다.이 소책자는 그 동안 펼쳐온 <환기생기 캠페인>의 성과를 요약해 담은 시민교육용 자료집으로 실내공기 관리의 필요성뿐 아니라 구체적인 실내공기질 관리 노하우, 유해물질 정보와 건강영향, 법적 규제와 공공기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 등을 압축적으로 담겨있다.
목차 1. 우리 집 실내공기, 괜찮을까? 2.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7가지 물건들 01ㅣ건축 마감재 02ㅣ가구와 블라인드 03ㅣ옷과 섬유가공제품 04ㅣ생활용품 05ㅣ살충제와 생활화학용품 06ㅣ전자제품 07ㅣ조리기구 +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유해물질 정보3. 환기, 이렇게 해봐요! 01ㅣ효율적인 환기 방법 02ㅣ겨울철 ‘환기생기’ 03ㅣ환기에 영향을 주는 조건들 04ㅣ황사와 미세먼지, 배기가스 때문에 환기하기 불안하다면? 05ㅣ공기청정기 고르는 방법 06ㅣ깨끗한 실내공기를 위한 깨알 정보 07ㅣ이사나 집수리를 했을 때, 베이크 아웃 08ㅣ천연 숯 활용 09ㅣ공기정화식물 활용
여성환경연대 환경건강컨설턴트가 어린이집, 작은도서관 등 총 26곳의 실내공기질 모니터링과 컨설팅을 진행한 결과 보고서이다.
모니터링을 하기 전 사전설문조사를 했던 내용과 실제 측정한 결과 분석이 담겨 있습니다.
환기생기 건강마을 프로젝트 간담회를 통해 공개된 자료이다. 후 원 : 서울특별시 녹색서울시민위원회 주 최 : 여성환경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