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관련, 행정안전부가 공무원들의 업무와 관련하여 챗GPT 등 인공지능 기술을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한 '챗 GPT 활용방법 및 주의사항 안내' 를 배포합니다.
이용과정에서 중요한 정보의 유출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니, 각 기관은 직원들이 주의사항을 준수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 관련 문의사항: 행정안전부
본 안내서는 OpenAI社의 ‘챗GPT’에 대한 활용 및 주의사항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챗GPT 외의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해서는 활용 방법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챗GPT(ChatGPT) 개요
- 챗GPT(ChatGPT)는 OpenAI社의 초거대 언어모델인 GPT-3.5, GPT-4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
▪챗GPT : GPT-3.5를 기반으로 한 무료 버전(’22.11월 공개)
▪챗GPT 플러스: GPT-4 등 향상된 기능을 사용 가능한 유료 버전(’23.2월 출시)
○ GPT는 OpenAI社가 만든 초거대 언어모델(LLM)로 챗GPT는2021년9월까지의 데이터를 학습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 사전 학습된 생성형 트랜스포머(알고리즘)
▪초거대 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 문장 내 앞서 등장한 단어를기반으로 뒤에 어떤 단어가 등장해야 문장이 자연스러운지를 예측하여 문장을완성하는 자연어 처리 모델로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대화의맥락을 이해하고, 대화를 기억하는 등 사람처럼 응답하는 능력을 지님
□ 챗GPT와 같은 초거대 인공지능 서비스를 구글, 메타, 네이버,LG, 카카오 등 국내·외 기업에서 출시하였거나, 출시 예정
▪해외 : 구글 Bard(챗봇, ’23.2월 공개), 메타 LLAMA(LLM, ’23.2월 공개) 등
▪국내 :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LLM), 서치GPT(검색서비스) ’23.7월 출시예정, LG 엑사원(LLM)을 상담, 디자인, 바이오 등에 활용 확대(’23년~), 카카오 KoGPT(LLM), 한국형 챗GPT(챗봇) ’23년 하반기 출시예정 등
챗GPT 활용가능 분야 및 활용예시
1. 정보탐색능력 활용
① 아이디어 탐색
새로운 콘텐츠 발굴, 문제 해결방안 마련 등신규기획이나, 보고서 작성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는 경우
※ 질문을 구체적으로 하거나, 추가적인 질문을 하여 상세한 답변 유도가 가능
※ 다만, 질문 과정에서 미확정 정책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유의
② 국내외 자료조사
업무에 참고하기 위해 인터넷상에 널리퍼진연구, 논문, 공식자료 등에 포함된 내용을 수집하고 싶은 경우
※ ’21년 이전 자료만 조사 가능 / 국외 자료 조사의 경우 영어로 질문 시 답변 정확도 상승
※ 답변내용이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답변 출처 등을 찾아 반드시 확인 필요
2. 언어능력 활용
③ 보도자료 등 초안 작성
보도자료, 인사말, 강의(강연)자료 등대외공개하는 자료의 작성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초안이 필요한경우
※ 초안 작성을 위해 미확정 정책, 대외비 등 비공개 정보나, 개인정보를 질문으로 입력하는 경우 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필요
* ‘尹 “벽 깨고 연결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로 기득권 깨겠다”’ - 연합뉴스(’23.4.14)
** ‘인공지능 기술보다 중요한 인공지능 윤리’ - 한국뇌과학연구원(’23.3월)
④ 외부자료 요약
언론기사, 논문 등 많은 분량의 내용을 짧은시간에이해해야 하거나, 간략히 전달하기 위해 요약이 필요한 경우
⑤ 언어 간 번역
해외사례 조사, 해외 홍보 등 언어 간 번역및미국식‧영국식 영어 등 현지화된 번역이 필요한 경우
* 프랑스 디지털행정부(DINUM) 소개자료
** ‘챗GPT가 공무원의 업무혁신을 이끈다’ - 행안부 보도자료(’23.3.30.)
3. 컴퓨터능력 활용
⑥ 업무용 응용프로그램 사용법 탐색
엑셀 등 업무용 응용프로그램의사용법을 쉽게 찾으려는 경우
※ 한 번의 질문보다는 추가 질문으로 보다 정확한 사용법 확인이 가능
⑦ 업무 자동화 프로그램 제작
많은 자료 병합, 특정 키워드포함기사 검색·정리 등 반복적 업무에 드는 시간을 단축하려는경우
※ 자동화 프로그램의 제작‧활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가 필요
(이용자의 컴퓨터 환경에 따라 프로그램 코드 수정이 필요)
챗GPT 문제점(한계)와 활용 시 주의사항
1. 문제점(한계)
□ 저작권 · 개인정보 보호
○ 챗GPT가 저작권자의 사용허가 없이 인터넷 기사, 웹사이트게시글등을 학습용 데이터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 문제 논란
▪우리나라 : 명확한 인공지능의 저작물 학습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입법 추진 중
▪미국 :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즈 등의 유·무료기사를 인공지능 학습에 이용한 사항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 모회사가 저작권 위반 소송을 제기
○ 챗GPT가 학습하는 정보에 개인정보(인터넷상에 공개된 개인정보)가포함되어 개인정보 보호 규정에 대한 위반 논란
▪이탈리아 : 챗GPT가 학습하기 위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는데, 이에대한 법적 근거가 없다며 챗GPT에 차단 조치 및 조사 시행
□ 중요정보 유출
○ 챗GPT에 입력하는 정보는 저장되고 성능개선을 위한 학습자료로활용 가능*(챗GPT 이용약관)
* ’23.4.25. 개인계정 설정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는 30일간 저장되고, 성능개선을 위한 학습자료로 활용하지 않도록 하는 선택기능을 추가
▪삼성전자 : 직원이 반도체 프로그램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를 챗GPT에 입력한 사실을 확인, 주의 안내 및 일부 이용 제한 등 조치
□ 답변의 신뢰성, 윤리성, 편향성
○ 초거대 인공지능은 학습한 단어의 패턴, 관계성을 분석하여 답변을생성하기 때문에 답변이 매우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으나, 거짓된 답변도가능
○ 챗GPT는 비윤리적인 질문에 답변을 거부토록 훈련되었으나, 우회적질문으로 비윤리적(또는 범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결과물도 제시가능
○ 편향적이거나, 차별적 데이터 학습 시 편향적인 답변도 도출가능
2. 활용 시 주의사항
□ 챗GPT에 비공개 정보나,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 것
○ 의사결정이 완료되지 않거나, 공표되지 않은 정보, 외부 반출이허용되지 않는 대외비 등 비공개 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주의
○ 행사 참석자 정보, 민원인 정보 등 업무처리 과정에서 수집·처리하는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
□ 챗GPT가 생성한 답변을 사실여부 검증 없이 이용하지 말 것
○ 챗GPT는 언어모델 기반으로 대화를 ‘생성’하기 때문에 그특성상답변이 거짓 정보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상 검증과 확인이필요
※ “지금 당장 중요한 일을 챗GPT에 의존하는 것은 실수.
현재 수준은 ‘미리보기’인셈이며 앞으로 견고함과 진실성 면에서 해야 할 일이 많음.” - 샘 알트만, OpenAI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