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3. 16:00ㆍESG 사업 점검 자료/사회(Social) 및 정치 이슈
728x90
반응형
유럽의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 현황과 시사점 :
농촌지역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기업 육성방안 연구
연구진_ 엄형식 마상진 발간기관_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 소개
유럽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연합체 형태의 조직들이 효과적인 사회적기업의 중간지원조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왔다. 사회적경제 전반이 취약계층 사회통합, 사회서비스 발전, 지속가능한 지역개발 등의 영역에서 의미 있는 정책적 선택으로 인정받게 되면서 새로운 사회적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중간지원조직들의 다양한 시도들도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CDA와 스웨덴의 협동조합개발기관과 같이 사회적경제와 공공부문의 협력을 통한 새로운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을 직접 설립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이탈리아, 프랑스, 스페인 등 기존 사회적경제 연합체들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사회적경제 연합체들이 적극적인 정책개입과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로 정책과 시장환경 조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있다.
사회적경제 및 중간지원조직과 관련해서 오랜 역사를 가진 유럽은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에 주는 시사점이 많다. 한국에서도 이미 다양한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들이 활동하고 있고, 전체적인 활동의 내용은 유럽의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들과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공공부문 주도의 발전전략으로 공공부문의 지원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 중간지원조직의 정책변화과정에서 유럽의 사례들이 우리나라 중간지원조직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