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4. 18. 10:39ㆍESG 사업 점검 자료/사회(Social) 및 정치 이슈
728x90
반응형
요약
SDGs의 이행과 관련하여 ICT와 같은 혁신적 기술의 기여가 기대되며 ICT는 양성평등과 여성 및 소녀의 권한, 역량강화에 관한 SDG 5의 획기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여성의 ICT에 대한 접근성과 활용도의 증가는 현재 여성이 당면하고 있는 많은 문제들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며, 여성의 정치·사회·경제적 지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 및 ITU 등 국제기구는 ICT에 대한 여성의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활용의 증가를 통해 양성평등과 여성권익 향상을 추진하여 왔으며, 이는 SDGs 이행의 맥락에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ICT의 급속한 확산과 그 막대한 혜익에도 불구하고 여성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복합적인 장애요인으로 남성에 비해 ICT의 접근과 이용이 저조한 상황이다. ICT 접근과 이용의 성별격차 해소는 여성들의 권익향상 뿐아니라 시장에 막대한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경제발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의 ICT 국제개발협력과 여성 ICT 인력양성정책의 방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