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관리 점검]「감염병예방법」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대응 지침 첨부 파일 및 예방 방법
2023. 4. 10. 18:02ㆍESG 사업 점검 자료/안전보건관리 점검 관련
728x90
반응형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개요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정의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병원체
• 열원충속(Genus Plasmoditm 원충(기생충)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급성 열성 질환 • 인체감염 가능한 원충 종류는 총 5가지이고 이때 감염된 열원충에 따라 임상 양상, • 잠복기 및 예후의 차이가 존재 • 삼일열말라리아는 전 세계 온대 및 아열대 지방을 중심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열대열말라리아보다 중증도가 높지 않고 장잠복기의 특징을 나타냄.
* 우리나라의 경우,토착형 말라리아는 삼일열원충에 의한 감염만 발생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종류
• 열대열원충 : 주로 아열대 및 열대지방에 분포하며 특히 아프리카 지역에서 매우 문제시되고 병원성이 가장 높으며 중증말라리아로 진행될 경우 예후가 좋지 않음 • 삼일열원충 : 열대열말라리아보다 증상은 심하지 않은 편이나,지리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주로 온대, 아열대 지방에 존재 • 사일열원충 : 열대열말라리아와 거의 비슷한 특성을 보이나 발생 빈도가 훨씬 낮음 • 난형열원충 : 아프리카 지역 및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지역에서만 국소적으로 분포 • 원숭이열원충 : 원숭이열말라리아를 일으키는 종으로 최근 사람에게서의 감염이 획인되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말레이시아 필리핀,싱가포르 태국,미얀마 등)에 주로 분포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대응 보도자료
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뎅기열)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 (치쿤구니야열)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 (지카 바이러스)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국내 발생 현황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포스터뎅기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포스터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모기매개 감염병(3종) 전세계 발생 국가 현황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 바이러스)
말라리아(모기 매체 바이러스) 대응 지침 목적
동남아시아 방문자에서 뎅기열 및 치쿤구니야열 지속 발생에 이어, 최근 올해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도 확인됨에 따라 동남아시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병을 일으키는 원인체는 각기 다르지만, 모두 감염된 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매개 모기가 동일하다.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3종은 각각 전세계 아열대 및 열대지역 약 100여 개국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10개국(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라오스, 싱가포르, 캄보디아, 브루나이, 미얀마)은 모두 매개모기 서식 및 모기매개 감염병 자체 발생이 보고된 국가에 해당한다.
올해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보고된 모기매개 감염병 사례는 이번에 첫 확진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포함하여 모두 41명으로, 2022년 동기간(2명) 발생 대비 약 21배 증가하였으며, 이들 중 인도 또는 볼리비아 방문력이 있는 2명을 제외한 39명(95.1%)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방문 후 확진되었다.
동남아 등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 국가를 방문 계획하고 있는 국민에게 다음과 같이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숙지하여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및 발진 등의 임상 증상 확인시 모기 물림 등 확인하고. 검사 진행 및 신고를 당부하였다.
• 말라리아 환자관리 및 매개모기 방제를 통해 국내 발생 말라리아 퇴치 • 해외유입 말라리아 환자 발생 예방 및 국내 토착화 방지
나. 기본 방향 (말라리아의 조기 인지 및 발생 양상 파악)
• 보건소와 지역사회 중심의 말라리아 관리사업 강화 • (국내) 위험지역,위험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 • (국외) 해외유입 말라리아 환자 발생 예방 및 적절한 치료 • 민•관•군 등 관계기관의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다. 적용범위
• (국내) 삼일열말라리아 • (국외) 열대열말라리아,삼일열말라리아 등
라. 관리정
• 감시 -역학조사-환자 관리-환경 관리 등으로 감염병 전파방지 • 지자체,민간의료기관 교육 및 관련기관 체계 구축
동남아시아 방문자에서 뎅기열 및 치쿤구니야열 지속 발생에 이어, 최근 올해 첫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도 확인됨에 따라 동남아시아 방문 시 모기매개 감염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병을 일으키는 원인체는 각기 다르지만, 모두 감염된 숲모기류(이집트숲모기, 흰줄숲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매개 모기가 동일하다.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3종은 각각 전세계 아열대 및 열대지역 약 100여 개국에서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10개국(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라오스, 싱가포르, 캄보디아, 브루나이, 미얀마)은 모두 매개모기 서식 및 모기매개 감염병 자체 발생이 보고된 국가에 해당한다.
올해 현재까지 국내 발생이 보고된 모기매개 감염병 사례는 이번에 첫 확진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포함하여 모두 41명으로, 2022년 동기간(2명) 발생 대비 약 21배 증가하였으며, 이들 중 인도 또는 볼리비아 방문력이 있는 2명을 제외한 39명(95.1%)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 방문 후 확진되었다.
동남아 등 모기매개 감염병 발생 국가를 방문 계획하고 있는 국민에게 다음과 같이 해외유입 모기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숙지하여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및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하고, 의료기관에서는 발열 및 발진 등의 임상 증상 확인시 모기 물림 등 확인하고. 검사 진행 및 신고를 당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