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생활 전반을 차지하고 있는 화학물질 중에는 주의하지 않으면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는 유해물질이 많이 있습니다.
이 자료는 노동환경건강연구소와 환경정의가 선정해 발표한 108종의 생활 속 유해물질 목록입니다.
두 기관은 우선적으로 이 목록에 해당하는 물질부터 줄여나갈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현재 사용중인 화학제품이나 플라스틱 등 각종 물품의 성분표를 찾아보고 해당 물질이 있는 경우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환경정의
"발암성, 변이성, 생식독성, 내분비계교란물질, 잔류성/농축성 등 고위험 우려물질을 대상으로 한 국내외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총 4,419개 물질의 목록을 만들고 유럽의 SIN List 2.1과 미국 mind the store의 hazardous 100+, 물질의 위험성, 국내외 관심도나 이슈 등을 고려하여 총 108개의 화학물질을 선정하였습니다. ""생활 속 유해물질 리스트 108""은 일상에서 접하게 되는 화학물질 중 우선 줄여야 할 유해물질을 선정하여 목록화한 것입니다. 생활 속에서 접하게 되는 유해물질은 더 많이 존재하지만 이 108가지 물질을 시작으로 유해물질 저감의 노력이 지속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차례
part1 환경정의란 무엇인가? 반영운 (환경정의연구소 소장, 충북대학교 교수) 05
part2 12가지 환경정의 이야기
01 기후변화와 환경정의 이진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 17
02 원전시설과 환경정의 유정민 (환경정의연구소 부소장, 서울대학교 연구교수) 25
03 에너지 빈곤과 환경정의 고정근 (환경정의연구소 국장) 35
04 수도권쓰레기매립지와 환경정의 이상헌 (한신대학교 정조교양대학 부교수) 41
05 유해화학물질과 환경정의 김신범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 49
06 산업단지와 환경정의 김민정 (환경사회학회 총무이사) 57
07 대기오염과 환경정의 우이지영 (인하대병원 심혈관질환센터 사무국장, 의학박사) 65
08 아토피와 환경정의 신권화정 (환경정의 다음지킴이국 국장) 71
09 먹거리와 환경정의 박명숙 (인하대 의대 의학박사) 77
10 생명공학과 환경정의 박병상 (인천 도시생태ᆞ환경연구소 소장) 85
11 녹지와 환경정의 박은진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연구위원) 93
12 4대강과 환경정의 박용신 (환경정의 사무처장) 101
[그린피스] 그린피스 캠페인 PDF 파일 (0) | 2023.04.18 |
---|---|
[일상 환경] 화학물질의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에 따른 물질안전보건자료(노동 환경건강연구소 알권리보고서), 우리나라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제도의 문제.. (0) | 2023.04.12 |
[발암물질 근절]소비자가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마트 만들기를 위한 토론회 (0) | 2023.04.04 |
[초미세먼지] 미세먼지 현황, 건강 피해 실태, 대처 방안 등을 연구한 자료 (0) | 2023.04.04 |
[환경 및 사회 이슈] 불법 어업 근절 캠페인_그린피스 (0) | 2023.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