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발전소 사고는 핵발전 시설에서 발생한 사건의 규모를 일반 국민이나 언론이 일관성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제 원자력 사고·고장 등급(INES: International Nucle Event Scale)’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핵발전 관계시설에서 발생한 3등급 이하의 핵발전 관계시설에서 발생한 3등급 이하의 사건을 고장(Incident), 4등급 이상의 사건을 사고(Accident)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사고(Accident)로 정의하고 있으며,이를 7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핵발전소 사고는 사고 발생시 방사성 물질의 방출 정도에 따라 분류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7등급 대형사고의 경우 1986년 구소련 체르노빌 원전 사고와 2012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4등급 이상의 사고로 분류된 사건은 없지만, 2011년 3월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이후에 발생한 1 등급 고장만 6건,2등급 고장은 1건이 있습니다. 특히 2등급 고장으로 분류된 2012년 2월 9일 발생한 고리원전 1호기 외부전원 상실 사건은 다행히 큰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았지만,12분간이나 전력공급이 중단된 큰 고장 사고였습니다. 경미한 고장사고로 분류되는 0등급까지 포함할 경우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고장은 34건에 이르고 있습니다.
녹색연합에서 공개한 매뉴얼북입니다. 핵발전소 사고와 방사선의 영향, 국내 사고 대응체계의 문제점, 주민대피 기준과 구호소, 방재 훈련의 문제점을 정리했습니다.
차례
1. 핵발전소 사고란?
2. 체르노빌 핵발전소 사고란?
3.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란?
4.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5. 방사선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면?
6. 우리나라에서 핵사고가 난다면?
7. 핵발전소 사고시 비상대응체계는?
8. 핵발전소의 방사선비상이란?
9. 방사선비상이 발령되면?
10. 주민대피 기준이란?
11. "실내로 대피하라"는 통보를 받으면?
12. "구호소로 대피하라"는 통보를 받으면?
13. 구호소에 가면 어떻게 해야 하나?
14. 구호소는 어떤 곳인가?
15. 방사선 비상계획구역이란?
16. 방사능 방재 훈련이란?
17. 예산과 인력은?
18. 핵발전소 사고 피해 비용은?
후쿠시마의 10가지 교훈
일본의 시민단체, 사회조직들이 모여 '후쿠시마 소책자 간행위원회'를 꾸려 어제 3월 11일, '후쿠시마의 10가지 교훈'이라는 소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이 책은 올해 일본에서 개최되는 유엔 세계방재회의에 대응하며 나온 소책자로, 핵에는 어떤 위험이 있는지, 내부피폭은 무엇인지,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통해 우리가 얻어야만하는 교훈들이 무엇인지 쉽고 구체적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